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은 심장과 뇌로 향하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혀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심장질환과 뇌혈관 질환은 국내 사망원인 2위와 4위를 각각 차지할 정도로 치명적입니다. <br /> <br />나이가 들수록 발생 위험이 증가하지만, 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심뇌혈관 질환은 고혈압과 당뇨병, 고콜레스테롤혈증 등 선행 만성질환을 먼저 겪게 되는데, 20~40대의 경우 선행 질환 인지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30대의 경우 100명 가운데 10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었지만, 이 중 7~8명은 질환이 있는지 몰랐습니다. <br /> <br />40대도 고혈압 환자 가운데 절반만 인지하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당뇨병과 고콜레스테롤혈증 역시 마찬가지로 젊은 환자일수록 질환 인지율이 낮았습니다. <br /> <br />[이승환 /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: 선행 질환들 자체가 증상이 많이 있는 질환들은 아니잖아요. 젊은 사람들은 정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받거나 그러는 것도 좀 연세 있으신 분들보다 적고….] <br /> <br />선행 만성질환 예방은 혈압과 혈당, 콜레스테롤 수치를 검사하는 것부터가 시작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콜레스테롤 수치가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혈관에 염증을 유발하는 저밀도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혈압이 높아지고, 높아진 혈압이 다시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'악순환'이 반복돼 심뇌혈관 질환 위험이 커집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흔히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부르는 고밀도콜레스테롤 수치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도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[케리앤 라이 /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의생명과학대학 교수 : HDL (고밀도 콜레스테롤) 수준은 심혈관 질환, 당뇨병, 치매 등의 질환을 포함한 여러 만성 질환의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질병관리청은 9월 첫주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을 맞아 '자기 혈관 숫자 알기' 캠페인을 진행하고, 20대부터 정기적인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백종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ㅣ이동규 <br />영상편집ㅣ김민경 <br />디자인ㅣ김효진 <br />자막뉴스ㅣ고현주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903145100890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